본문으로 바로가기

[이론] IP 주소 체계(1)

category 네트워크/이론 2019. 1. 15. 21:07
728x90
반응형

오늘은 네트워크의 시작인 IP 주소 체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책을 보고 공부 중입니다.


IP 주소는 네트워크 장비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입니다.


IP 주소는 TCP/IP 프토콜을 만들면서 만들어졌습니다.


이 주소는 우리가 사용하는 주소처럼 규칙이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IP주소는 IPv4 주소입니다.


 

 

 




IP 주소는 이진수 32자리로 되어 있습니다.


주소의 범위는


0000 0000 . 0000 0000 . 0000 0000 . 0000 0000 ( 0.0.0.0 )에서


1111 1111 . 1111 1111 . 1111 1111 . 1111 1111 (255.255.255.255)까지입니다.


총 가짓수로 따져보면 2의 32승입니다. ( 2 곱하기 2곱하기 ... 3번 곱하면 됩니다)


약 42억개입니다. IP 주소라고해서 다 사용 할 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현재는 IPv4 주소는 포화 상태입니다.


주소를 만들 때 이정도까지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줄 예측하지 못했기때문입니다.


IP 주소는 이진수로 표현하면 위와 같지만, 보통 십진수를 사용하고, 점 ( . ) 을 사용합니다.


ex ) 192.168.1.2 , 255.254.151.6


이진수 IP를 사용하면 너무 길어서 외울 수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위와 같이 십진수를 사용하도록 합니다.


IP 주소는 이 진수 8자리 4개로 되어있습니다. 최소 0에서 255까지입니다 ( 2의 8승 )


이진수 8자리는 옥텟 ( octet )로 불리며, 총 4개의 옥텟으로 나누어 집니다.


즉, 32비트가 되는거죠.


 

 

 



IP 주소는 크게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부분은 브로드캐스트 영역입니다. 즉, 같은 네트워크 상이라 볼 수 있습니다.


라우터를 거치지 않고 통신이 가능한 영역입니다. ( 다른 네트워크라면 라우터를 거쳐가야 함 )


호스트 부분은 각각의 장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 두 개를 조합해서 설명 드리자만, 어떤 네트워크 에서든지 "같은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 부분이 모두 같아야 되고, 호스트 부분은 달라야지 통신을 할 수 있습니다.


호스트 부분이 같다면, 흔히 말하는 IP 충돌이 일어납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한 회사에서 사용하는 IP가 10.20.30.1 ~ 10.20.30.255 라고 하겠습니다.


그러면 네트워크 부분은 앞의 옥텟 3개가 됩니다.


마지막 옥텟 1개는 호스트 부분입니다. 이론 상으로는 총 255개의 IP를 사용할 수 있지만, 마지막 옥텟을 1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포스팅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