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를 처음 설치한 후, ssh 접속을 시도하려면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ssh 서버가 동작을 하고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인터넷 환경은 세팅이 다 되어있다고 가정을 하고, ssh 서버를 설치해보겠습니다.
전 root로 접속한 후, 진행을 하였습니다.
1. openssh-server 설치 여부 확인
]# dpkg -l | grep openssh
보통 openssh-client만 설치가 되어 있어, 이 장비에서 다른 장비로는 ssh 접속이 됩니다.
2. openssh-server 설치
]#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설치를 진행합니다.
3. openssh-server 설치 여부 확인
]# dpkg -l | grep openssh
openssh-server, openssh-sftp-server 두개가 설치가 됩니다.
4. ssh를 시작합니다
]# service ssh start
-여기서 에러가 한번 뜰겁니다. 인증서가 없기 때문입니다.
-> 인증서를 만듭니다.
]# ssh-keygen -A
->이제 정상 기동이 됩니다.
5. ssh 동작 상태를 확인합니다.
]# service ssh status
]# netstat -ntlpa | grep ssh
6. 다른 장비에서 ssh 접속을 시도
]# ssh [IP]
접속하려는 장비에 일반 사용자가 있다면 접속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root로 접속하려면 연결이 실패합니다.
이유는 기본 설정으로 root의 ssh 접속을 막아두었기 때문입니다.
root의 접속 권한을 주도록 하겠습니다.
]# vim /etc/ssh/sshd_config
...
PermitRootLogin yes
...
->PermitRootLogin 값을 yes로 변경 후, ssh를 재시작합니다.
]# service ssh restart
->이제 ssh 접속이 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운영체제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우분투 NTP 시간동기화 (0) | 2020.11.28 |
---|---|
[리눅스] ftp, ssh 로그인 지연 (0) | 2020.11.10 |
[리눅스] TCP Wrappers (0) | 2020.09.16 |
[리눅스] heartbeat란 (0) | 2020.07.12 |
[리눅스] backlog (0) | 2020.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