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yum local repository 설정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OS는 Centos 7.3 64bit 입니다.
인터넷이 되는 곳이라면 특정 서비스를 설치할때 yum을 사용해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yum은 rpm간에 의존성을 잡아주기떄문에 많이 사용합니다.
단, 관련 rpm들을 다 넣어줘야 제대로 설치가 되고, 다 넣지 않으면 제대로 설치가 되지 않습니다.
yum은 repository 정보가 기본적으로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 /etc/yum.repos.d )
인터넷이 안되는 곳에서 장비에 관련 rpm을 설치하려면 난감합니다.
이럴 때 사용하는 것이 local에 yum repository를 설정하여 그 repository에 관련 rpm이나 라이브러리를 넣어 두고 사용합니다.
이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먼저 rpm을 넣을 디렉토리를 만듭니다.
# mkdir /data/rpm
2. 관련 rpm들을 /data/rpm 에 복사합니다.
3. 기본적으로 설정된 yum들을 백업해둡니다.
# cd /etc/yum.repos.d
# mkdir bak
# mv *.* bak
4. repository 파일을 만듭니다.
# vi /etc/yum.repos.d/local.repo
[rpm]
name=localRepository
baseurl=file:///data/rpm
enabled=1
gpgcheck=0
5. createrepo 명령어로 /data/rpm 경로를 repository로 만듭니다.
createrepo가 없으면, yum으로 설치하거나 밑의 3개 rpm을 다운받아 설치합니다.
1. createrepo-0.9.9-28.el7.noarch.rpm
2. deltarpm-3.6-3.el7.x86_64.rpm
3. python-deltarpm-3.6-3.el7.x85_64.rpm
# createrepo /data/rpm
6. repository를 활성화 시킵니다.
# yum repository
7. yum 명령어로 넣어놓은 rpm을 설치합니다.
# yum install [rpm명]
이렇게 편리하게 rpm을 설치/관리 할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운영체제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IPC란 (0) | 2019.12.10 |
---|---|
[리눅스] ulimit 명령어 (0) | 2019.12.06 |
[리눅스] fork 란 (0) | 2019.10.22 |
[리눅스] 프로세스와 쓰레드 (0) | 2019.09.30 |
[리눅스] NFS ( Network File System )란 (0) | 2019.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