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콜]FTP(File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 안녕하세요. letitkang입니다. 최근에 개인 사정으로 인하여 20일정도 글을 못썼네요. 이제 다 깨쳐내고,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여러분 힘을 주세요! 오늘부터 글을 계속 포스팅하겠습니다. 다시 공부 시작해볼까요? 'Network Protocols Handbook의 pdf파일'을 봅시다! 오늘은 FTP 프로토콜입니다.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입니다. 즉, 파일 전송에 쓰입니다. 그러나 보안때문에 잘 쓰지 않습니다. 7계층인 응용 계층의 프로토콜입니다. 모르시는 분이 없으시면 오늘 알아 가시면됩니다~ 이제 시작하겠습니다. RFC문서는 RFC959(https://www.ietf.org/rfc/rfc959.txt)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FTP( File transfer Protocol )은 호스트 간.. 네트워크/프로토콜 8년 전
[프로토콜]DNS(Domain Name System(Service)) 프로토콜 안녕하세요. letitkang입니다. 요즘 날씨가 점점 풀리고있네요. 이상한 소리하지말고 프로토콜 공부하자구요? 좋습니다! 'Network Protocols Handbook의 pdf파일'을 봅시다! 오늘의 프로토콜은 바로바로! DNS 프로토콜입니다. DNS서버 많이 들어보셨을 거에요. 저희가 일반 사이트에 도메인으로 접속할때 꼭 DNS를 거쳐야지 접속을 할 수 있습니다. RFC 문서를 좋아하시는분은 RFC1034(https://www.ietf.org/rfc/rfc1034.txt)를 보세요! RFC문서 읽는 것도 중요합니다 RFC문서나 스펙 문서 등 영문서를 읽다보면 어떤 걸 읽어야될지 감이 잡힐거에요! 이제부터 한번 살펴볼까요? DNS는 분산 인터넷 디렉토리 서비스 입니다. DNS는 도메인 이름과 IP .. 네트워크/프로토콜 8년 전
[프로토콜]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프로토콜 안녕하세요. letitkang입니다. 요즘 바빠서 이틀정도 포스팅을 못했네요 ㅠㅠ 바쁜것도 있지만 귀차니즘때문인거같아요... 힘을 주세요!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화이팅! 'Network Protocols Handbook의 pdf파일'에서 볼 때 오늘의 프로토콜은 뭘까요? 오늘의 프로토콜은 DHCP 프로토콜입니다. DHCP 프로토콜도 BOOTP, DCAP와 마찬가지로 TCP/IP프로토콜이며 7계층인 application 계층입니다. 포스팅 순서는 TCP/IP 7계층에서 6계층 ... 내림차순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TCP/IP 프로토콜 공부가 끝나면 OSI 나 다른 모델에 대하여 포스팅할 것입니다. 자세한 것은 RFC2131(https://www.ietf.org/rfc/rfc2131.txt)과 RFC339.. 네트워크/프로토콜 8년 전
[프로토콜]DCAP(Data Link Switching Client Access Protocol) 프로토콜 안녕하세요. letitkang입니다. 오늘도 'Network Protocols Handbook의 pdf파일'를 보고 정리합니다. 네트워크와 C++ 공부를 좀 했으니 오늘은 프로토콜을 한번 보려고합니다! 오늘 공부할 프로토콜은 DCAP 프로토콜입니다.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DCAP 프로토콜은 TCP/IP 프로토콜이며 7계층인 application 계층입니다. 자세한 정의는 RFC2114(https://tools.ietf.org/html/rfc2114)를 보시면 됩니다. 먼저 NetworkProtocolsHandbook.pdf 파일에 있는 설명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오늘도 NetworkProtocolsHandbook.pdf 파일에 있는 설명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DCAP프로토콜은.. 네트워크/프로토콜 8년 전
[프로토콜]BOOTP(Bootstrap Protocol) 프로토콜 안녕하세요. letitkang입니다. 오늘 공부해볼 프로토콜은 BOOTP 프로토콜입니다. 'Network Protocols Handbook의 pdf파일'을 참고하고 있습니다. BOOTP 프로토콜은 TCP/IP 프로토콜이며 7계층인 application 계층입니다. 자세한 내용을 보시려면 RFC951(https://tools.ietf.org/html/rfc951)을 보시면됩니다. 먼저 NetworkProtocolsHandbook.pdf 파일에 있는 설명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BOOTP 프로토콜은 부팅 호스트가 사용자의 관리 없이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해주는 UDP/IP 기반의 프로토콜입니다. BOOTP 프로토콜은 지정된 IP 주소, 부트 서버 호스트의 IP 주소 및 메모리에 로드되어 실행될.. 네트워크/프로토콜 8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