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Ping의 TTL 값으로 OS 확인하기
오늘은 ping명령어를 사용했을 경우에 응답으로 오는 TTL(Time To Live)값으로 상대 PC가 어떤 OS를 쓰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확실한것은 아니고, 추측정도로 생각하시면됩니다. ping명령어는 누구나 한번쯤은 사용해보셨을 겁니다. 리눅스든 윈도우든 다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TTL은 장비를 거치면서, TTL 값을 하나씩 감소 시키고, TTL값이 0이 되면 패킷을 드랍시킵니다. 장비를 거치는 것을 홉이라고 부릅니다. 패킷이 경로를 찾지 못하고 패킷이 계속 돌아다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 값을 사용합니다. 또한 이 값으로 상대방의 OS를 파악하거나, 자신으로 부터 얼마나 떨어져있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localhost(127.0.0.1)로 ping 명령어를 실행해보겠습니다. 제 PC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