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DD (Test-Driven Development)**는 테스트 주도 개발을 의미하며,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테스트를 먼저 작성하고, 그 테스트를 통과하는 코드를 작성하는 개발 방법론입니다.
TDD는 코드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버그를 사전에 방지하며, 리팩토링을 쉽게 만들기 위해 널리 사용됩니다.
TDD는 주로 세 가지 단계로 구성됩니다:
- 테스트 작성 (Red)
새로운 기능을 개발하기 전에 먼저 그 기능에 대한 테스트를 작성합니다. 이 테스트는 아직 구현되지 않은 기능을 검사하기 때문에 실패합니다. (빨간색) - 코드 작성 (Green)
테스트가 실패하는 이유를 해결하기 위해 최소한의 코드를 작성하여 테스트가 통과하도록 만듭니다. (초록색) - 리팩토링 (Refactor)
테스트가 통과한 후에는 코드를 개선하거나 리팩토링하여 더 효율적이고 깔끔한 코드로 만듭니다. 리팩토링 후에도 기존 테스트가 여전히 통과해야 합니다.
장점
1. 버그 예방
테스트를 먼저 작성하기 때문에 초기 단계에서 버그를 미리 발견할 수 있습니다.
2. 안정적인 리팩토링
기존 테스트가 있기 때문에, 코드 변경 후에도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어 리팩토링이 쉬워집니다.
3. 명확한 요구사항
기능을 구현하기 전에 테스트를 작성함으로써 요구사항을 명확히 정의할 수 있습니다.
4. 문서화 효과
테스트 자체가 문서 역할을 하여, 코드가 무엇을 하는지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TDD는 코드 품질을 높이고, 버그를 줄이며, 안정적인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강력한 방법론입니다. 처음에는 조금 번거로울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개발 과정을 더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만들어주는 중요한 기법입니다.
반응형
'컴퓨터 >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 SCM(Supply Chain Management) 이란 (0) | 2025.02.18 |
---|---|
[기술] OS 설치 시 USB 속도 vs CD 속도 (0) | 2023.02.17 |
[기술] Data Fabric ( 데이터 패브릭 ) (0) | 2022.07.07 |
[기술] RPA ( Robotic Process Automation ) (0) | 2022.06.15 |
[기술] KAFKA란 (0) | 2021.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