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정보관리기술사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틈틈히 관련 용어들에 대해서 정리를 하려고합니다.
오늘은 Workflow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워크플로우(Workflow)란 업무 또는 프로세스가 정의된 규칙과 절차에 따라 자동화되거나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흐름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최적화 및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Workflow의 6가지 구성 요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작업(Task): 개별적으로 수행해야 할 업무 단위
2. 프로세스(Process): 일련의 작업(Task)이 연결되어 있는 흐름
3. 참여자(Participant): 업무 수행을 담당하는 사용자 또는 시스템
4. 조건(Condition): 업무의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규칙
5. 트리거(Trigger): 프로세스의 시작 또는 전환을 유도하는 이벤트
6. 결과(Output):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의 산출물
그 다음, Workflow의 5가지 유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순차적 워크플로우 (Sequential Workflow)
-업무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진행되는 방식
예: 승인 절차(기안 → 검토 → 승인 → 시행)
2. 병렬 워크플로우 (Parallel Workflow)
여러 업무가 동시에 진행되는 방식
예: 다수의 부서가 독립적으로 결재 진행
3. 조건부 워크플로우 (Conditional Workflow)
특정 조건에 따라 업무 흐름이 다르게 진행됨
예: 매출이 1억 이상이면 본부 승인, 미만이면 지점 승인
4. 규칙 기반 워크플로우 (Rule-Based Workflow)
사전 정의된 규칙에 따라 업무가 자동화됨
예: 고객 등급에 따라 다른 할인율 적용
5. Ad-hoc 워크플로우 (Ad-hoc Workflow)
사전에 정의되지 않은 유동적인 프로세스
예: 연구개발 프로젝트 수행 시 유연한 협업 방식
다음은 5가지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프로세스 정의 및 관리: 업무 절차를 모델링하고 정의
-업무 흐름 자동화: 미리 정해진 경로에 따라 업무 수행
-권한 및 역할 관리: 사용자별 업무 권한 제어
-모니터링 및 로그 관리: 진행 상태 및 이력 추적
-연동 기능: ERP, CRM 등 타 시스템과의 연계
마지막으로 Workflow와 관련된 기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BPM (Business Process Management)
->기업의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방법론
->BPMN (Business Process Model and Notation) 표기법 사용
-RPA (Robotic Process Automation)
->반복적 업무를 소프트웨어 로봇이 자동 수행
->비용 절감 및 업무 생산성 향상
-워크플로우 표준
->WFMC (Workflow Management Coalition): 워크플로우 표준화 기구
->XPDL (XML Process Definition Language): 워크플로우 정의 언어
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