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표는 IANA가 정의한 Well Known 포트 입니다. 각 포트는 각종 OS에서 공통으로 사용됩니다.
포트 번호 / 계층 |
이름 |
설명 |
1 |
tcpmux |
TCP 포트 서비스 다중화 장치 |
5 |
rje |
원격 작업 입력 (Remote Job Entry:RJE) |
7 |
echo |
Echo 서비스 |
9 |
discard |
접속 테스팅을 위한 Null 서비스 |
11 |
systat |
연결된 포트를 열거하는 시스템 상태 서비스 |
13 |
daytime |
요청하는 호스트에게 날짜와 시간 정보를 보냅니다 |
17 |
qotd |
오늘의 한마디를 연결된 호스트에게 보냅니다 |
18 |
msp |
메시지 전송 프로토콜 (Message Send Protocol: MSP) |
19 |
chargen |
자막 생성 서비스 (Character Generation service); 끊임없이 문자 스트림을 보냅니다 |
20 |
ftp-data |
FTP 데이터 포트 |
21 |
ftp |
파일 전송 프로토콜 (FTP) 포트; 가끔씩 파일 서비스 프로토콜 (FSP)에 의해 사용됩니다 |
22 |
ssh |
보안 쉘 (Secure Shell: SSH) 서비스 |
23 |
telnet |
Telnet 서비스 |
25 |
smtp |
단순 메일 전송 프로토콜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MTP) |
37 |
time |
시간 프로토콜 |
39 |
rlp |
자원 위치 프로토콜 (Resource Location Protocol) |
42 |
nameserver |
인터넷 이름 서비스 (Internet Name Service) |
43 |
nicname |
WHOIS 디렉토리 서비스 |
49 |
tacacs |
TCP/IP 기반 인증과 사용을 위해 사용되는 TACACS (TerminalAccess Controller Access Control System) |
50 |
re-mail-ck |
원격 메일 확인 프로토콜 (Remote Mail Checking Protocol) |
53 |
domain |
도메인 이름 서비스 (예, BIND) |
63 |
whois++ |
WHOIS++, 확장된 WHOIS 서비스 |
67 |
bootps |
부트스트랩 프로토콜 (Bootstrap Protocol: BOOTP) 서비스;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서비스에 의해서도 사용됩니다 |
68 |
bootpc |
부트스트랩 (BOOTP) 클라이언트; 동적 호스트 제어 프로토콜 (DHCP) 클라이언트에 의해서도 사용됩니다 |
69 |
tftp |
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TFTP) |
70 |
gopher |
Gopher 인터넷 문서 검색 |
71 |
netrjs-1 |
원격 작업 서비스 |
72 |
netrjs-2 |
원격 작업 서비스 |
73 |
netrjs-3 |
원격 작업 서비스 |
73 |
netrjs-4 |
원격 작업 서비스 |
79 |
finger |
사용자 연락 정보를 알아보는 핑거(Finger) 서비스 |
80 |
http |
WWW (World Wide Web) 서비스에 사용되는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88 |
kerberos |
Kerberos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 |
95 |
supdup |
Telnet 프로토콜 확장 |
101 |
hostname |
SRI-NIC 기계의 호스트명 서비스 |
102/tcp |
iso-tsap |
ISO 개발 환경 (ISODE)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 |
105 |
csnet-ns |
Mailbox 이름 서버; CSO 이름서버에 의해서도 사용됩니다 |
107 |
rtelnet |
원격 Telnet |
109 |
pop2 |
Post Office Protocol 버전 2 |
110 |
pop3 |
Post Office Protocol 버전 3 |
111 |
sunrpc |
NFS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에 의해 원격 명령 실행에 사용되는 RPC (Remote Procedure Call) |
113 |
auth |
인증과 식별 프로토콜 |
115 |
sftp |
보안 파일 전송 프로토콜 (SFTP) 서비스 |
117 |
uucp-path |
UUCP (Unix-to-Unix Copy Protocol) 경로 서비스 |
119 |
nntp |
네트워크 넷 전송 프로토콜 (NNTP); USENET로도 불리움 |
123 |
ntp |
네트워크 시간 프로토콜 (NTP) |
137 |
netbios-ns |
Red Hat Enterprise Linux에서 Samba가 사용하는 NETBIOS 이름 서비스 |
138 |
netbios-dgm |
Red Hat Enterprise Linux에서 Samba가 사용하는 NETBIOS 데이터그램 서비스 |
139 |
netbios-ssn |
Red Hat Enterprise Linux에서 Samba가 사용하는 NETBIOS 세션 서비스 |
143 |
imap |
인터넷 메시지 액세스 프로토콜 (IMAP) |
161 |
snmp |
단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SNMP) |
162 |
snmptrap |
SNMP 트랩 |
163 |
cmip-man |
일반 관리자 정보 프로토콜 (CMIP) |
164 |
cmip-agent |
일반 관리자 정보 프로토콜 (CMIP) |
174 |
mailq |
MAILQ 이메일 전송 대기열 |
177 |
xdmcp |
X 화면 표시 관리자 제어 프로토콜 (XDMCP) |
178 |
nextstep |
NeXTStep 윈도우 서버 |
179 |
bgp |
Border Gateway Protocol |
191 |
prospero |
Prospero 분산형 파일 시스템 서비스 |
194 |
irc |
인터넷 릴레이 챗 (IRC) |
199 |
smux |
SNMP UNIX 다중화 장치 |
201 |
at-rtmp |
AppleTalk 라우팅 |
202 |
at-nbp |
AppleTalk 네임 바인딩 |
204 |
at-echo |
AppleTalk echo |
206 |
at-zis |
AppleTalk 영역 정보 |
209 |
qmtp |
빠른 메일 전송 프로토콜 (QMTP) |
210 |
z39.50 |
NISO Z39.50 데이터베이스 |
213 |
ipx |
IPX (Internetwork Packet Exchange)는 Novell Netware 환경에서 흔히 사용되는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입니다 |
220 |
imap3 |
인터넷 메시지 액세스 프로토콜 버전 3 |
245 |
link |
LINK / 3-DNS iQuery 서비스 |
347 |
fatserv |
FATMEN 파일 및 테이프 관리 서버 |
363 |
rsvp_tunnel |
RSVP 터널 |
369 |
rpc2portmap |
Coda 파일 시스템 portmapper |
370 |
codaauth2 |
Coda 파일 시스템 인증 서비스 |
372 |
ulistproc |
UNIX LISTSERV |
389 |
ldap |
경량 디렉토리 접속 프로토콜 (LDAP) |
427 |
svrloc |
서비스 위치 프로토콜 (SLP) |
434 |
mobileip-agent |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IP) 에이전트 |
435 |
mobilip-mn |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IP) 관리자 |
443 |
https |
보안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HTTP) |
444 |
snpp |
간이 망 호출 프로토콜 (Simple Network Paging Protocol) |
445 |
microsoft-ds |
TCP/IP 상 서비스 메시지 블록 (SMB) |
464 |
kpasswd |
Kerberos 암호화 키 변환 서비스 |
468 |
photuris |
Photuris 세션키 관리 프로토콜 |
487 |
saft |
단순 비동기 파일 전송 (SAFT) 프로토콜 |
488 |
gss-http |
HTTP 용 GSS (Generic Security Services) |
496 |
pim-rp-disc |
PIM (Protocol Independent Multicast) 서비스 용 RP-DISC (Rendezvous Point Discovery) |
500 |
isakmp |
인터넷 환경에서 안전하게 SA 및 세션 키를 관리할 수 있는 프로토콜 (Internet Security Association and Key Management Protocol: ISAKMP) |
535 |
iiop |
IIOP (Internet Inter-Orb Protocol) |
538 |
gdomap |
GDOMAP (GNUstep Distributed Objects Mapper) |
546 |
dhcpv6-client |
동적 호스트 설정 프토로콜 (DHCP) 버전 6 클라이언트 |
547 |
dhcpv6-server |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 (DHCP) 버전 6 서비스 |
554 |
rtsp |
실시간 스트림 제어 프로토콜 (RTSP) |
563 |
nntps |
SSL를 통한 네트워크 뉴스 전송 프로토콜 (NNTPS) |
565 |
whoami |
whoami 사용자 ID 목록 보여주기 |
587 |
submission |
메일 메시지 전송 에이전트 (MSA) |
610 |
npmp-local |
네트워크 주변 기기 관리 프로토콜 (NPMP) 지역/ 분산 대기 시스템 (DQS) |
611 |
npmp-gui |
네트워크 주변 기기 관리 프로토콜 (NPMP) GUI/ 분산 대기 시스템 (DQS) |
612 |
hmmp-ind |
HMMP (HyperMedia Management Protocol) 지시/ DQS |
631 |
ipp |
인터넷 인쇄 프로토콜 (IPP) |
636 |
ldaps |
SSL을 통한 경량 디렉토리 접속 프로토콜 (LDAPS) |
674 |
acap |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접속 프로토콜 (ACAP) |
694 |
ha-cluster |
고가용성 클러스터에 사용되는 Heartbeat 서비스 |
749 |
kerberos-adm |
Kerberos 버전 5 (v5) 'kadmin' 데이터베이스 관리 |
750 |
kerberos-iv |
Kerberos 버전 4 (v4) 서비스 |
765 |
webster |
네트워크 사전 |
767 |
phonebook |
네트워크 전화번호부 |
873 |
rsync |
rsync 파일 전송 서비스 |
992 |
telnets |
SSL을 이용한 Telnet (TelnetS) |
993 |
imaps |
SSL을 사용하여 인터넷 메시지 접속 프로토콜 (IMAPS) |
994 |
ircs |
SSL을 이용한 인터넷 릴레이 챗 (IRCS) |
995 |
pop3s |
SSL을 이용한 Post Office Protocol 버전 3 (POP3S) |
이 포트들을 굳이 다 외우실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자주 쓰이는 포트들은 외우두는게 좋습니다.
공부하다보면 저절로 외워지는 것들이라 영어 단어 외우듯이 외울필요는 없을 것 같네요.
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네트워크 > 프로토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토콜] LDAP (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cotol ) 프로토콜 (0) | 2019.02.11 |
---|---|
[프로토콜] IRCP ( Internet Relay Chat Protocol ) (0) | 2018.12.13 |
[프로토콜]IMAP ( 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l ) (0) | 2017.08.03 |
[프로토콜]S-HTTP(Secure Hypertext Transfer Protocol) (0) | 2017.07.18 |
[프로토콜]HTTP(Hypertext Trasfer Protocol) 프로토콜(2) (0) | 2017.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