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리눅스] rpm 설치 시 dependency

category 운영체제/리눅스 2024. 12. 20. 16:21
반응형

오늘은 rhel계열에서 에서 rpm 설치시 의존성 관련되어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rpm은 RedHat Package Manager의 약자로서 rhel계열에서 사용하는 패키지를 관리합니다.

rhel을 써보신분들은 익숙하실 겁니다.

rpm은 command 명령어로 제공이 되며, 패키지를 설치/패치/삭제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rpm으로 패키지를 관리하기 때문에 관리가 용이합니다.

rhel 8버전부터 rpm을 dnf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두 명령어는 거의 비슷하다고 보시면됩니다.

rpm을 설치하려고하면 의존성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많이 볼 수 있ㅅ브니다.

이 부분때문에 초반에 정말 많은 고생을 했고, 지금은 의존성에 대해서는 달인이라고 자부합니다.

rpm 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컴파일해서 쓸 때도 의존성 잡는건 자신있습니다.

참고로 어려운 작업은 아닙니다. 시간이 많이 소요될뿐이죠.

인터넷이 되는 환경이라면 yum 명령어로 하면 대부분의 것들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이 안 되는 환경이라면 rpm을 다운받아서 설치를 진행하거나, 직접 소스코드를 다운받아서 설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https://letitkang.tistory.com/262
https://letitkang.tistory.com/119

위의 포스팅을 참고하셔도 됩니다.

그러나 간혹 rpm을 다 다운받았는데도 rpm 명령어로 설치할 경우에 의존성 문제가 발생할 경우가 정말 많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rpm을 한 디렉토리에 다 넣은 후,

]# yum install *.rpm

으로 설치를 하면 의존성과 관련된 문제는 대부분 해결이 됩니다.

여기에서 발생하는 의존성은 rpm이 없을경우에 발생합니다.

정안되면 대화형 ai를 사용하시면됩니다.

chatgpt나 perplexity를 사용하는데 제 경험상, 이 두개가 IT 관련된 문제들에 대해서 잘 해결해주는 것 같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반응형